맨위로가기

숙의 김씨 (단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숙의 김씨는 조선 단종의 후궁으로, 1440년 김사우의 딸로 태어났다. 1454년 후궁 간택을 통해 창덕궁에 입궁했으나, 입궁 후 병을 얻어 수양대군의 거처로 옮겨졌다. 단종 폐위 후에도 서울에서 거주했으며, 1519년 80세가 넘어 공납을 시작했고, 1525년 85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충주에 묻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산 김씨 - 김기웅 (1961년)
    김기웅은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통일부 차관을 역임한 국민의힘 소속 제22대 국회의원이다.
  • 상산 김씨 - 김주호 (1933년)
    대한민국의 공무원 출신 정치인인 김주호는 농림부 사무관으로 공직을 시작하여 농림수산부 장관 등 요직을 역임하고 한국사료협회 회장, 세계식량농업기구(FAO) 한국협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민간 부문에서도 활동하였다.
  • 1525년 사망 - 토마스 뮌처
    토마스 뮌처는 독일의 급진적인 종교 개혁가이자 1525년 독일 농민 전쟁의 주요 지도자로, 종말론적이고 혁명적인 사회 변혁을 주장하며 농민들을 규합했으나 프랑켄하우젠 전투에서 패배 후 처형되었고, 그의 사상은 초기 공산주의 사상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1525년 사망 - 무산군 (왕족)
    무산군은 조선 성종의 서자이자 숙원 김씨 소생의 12남으로, 연산군 시절 안동 춘양으로 피신했으며 문필과 문장에 능했고 군부인 평산 신씨와의 사이에서 6남 2녀를 두었다.
  • 조선 단종 - 계유정난
    계유정난은 1453년 수양대군이 황보인, 김종서 등의 고명대신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으로, 수양대군이 권력을 장악하여 왕위에 오르고 훈구파의 권력 독점을 야기하며 조선의 정치 구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조선 단종 - 김종서 (1383년)
    김종서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무신, 학자로, 육진을 개척하고 국경을 확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문신으로서도 활약했으나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에게 살해되었다.
숙의 김씨 (단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후궁 (숙의)
법명원경
인물 정보
배우자단종
자녀없음
양자이약빙
출생1440년 경
사망1525년 음력 2월 (85세)
사망 장소충청도 충주
사인병사
국적조선
가문
본관상산 김씨
아버지김사우
어머니광주 이씨 이인손의 딸
외조부이인손
외삼촌이극배
로마자 표기
한국어숙의 김씨
로마자 표기Suk-ui Gimssi

2. 생애

숙의 김씨는 1440년 상산 김씨 김사우와 광주 이씨 부인의 딸로 태어났다.[1] 1454년 단종의 후궁으로 간택되어 정순왕후, 숙의 권씨와 함께 창덕궁에 입궁했다.[3] 입궁 초기 병을 얻어 수양대군의 집에서 잠시 요양하기도 했다.

그러나 세조가 계유정난을 일으켜 조카인 단종의 왕위를 빼앗고 1457년 단종을 사사하면서 그녀의 삶은 큰 변화를 맞았다. 단종 사후에도 숙의 김씨는 서울에서 계속 거주한 것으로 보이며[12], 아버지 김사우는 단종 복위 운동에 연루되어 처형된 송현수, 권완과는 달리 세조 치하에서도 별다른 처벌 없이 관직 생활을 이어갔다.[10][5]

숙의 김씨는 단종과의 사이에서 자녀를 두지 못했고, 외가 친척인 이약빙을 양자로 삼았다.[14] 1519년(중종 14년)에는 80세가 넘은 나이로 생존해 있었으며[4], 1525년(중종 20년) 85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13], 충청북도 충주에 묻혔다.

2. 1. 입궁과 후궁 시절 (1454년 ~ 1455년)

1454년(단종 2년) 음력 1월 8일, 효령대군, 수양대군 등 여러 종친이 참여한 가운데 창덕궁에서 열린 단종의 왕비 간택에 참여하여 삼간택에 올랐다.[6] 음력 1월 10일, 함께 삼간택에 올랐던 송현수의 딸(정순왕후)이 왕비로 결정되면서, 김씨는 권완의 딸(숙의 권씨)과 함께 단종의 후궁으로 정해졌다.[7][3]

후궁으로 결정된 후에는 세종의 서자인 밀성군의 집에서 머물다가[8], 음력 1월 24일 정순왕후가 왕비로 책봉될 때 함께 입궁하였다.[8] 입궁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병을 앓았는데, 이 때문에 단종이 김씨의 거처를 당시 수양대군의 사저로 옮기기도 했다.[9]

2. 2. 단종 폐위와 그 이후 (1455년 ~ 1525년)

단종 폐위 후에도 김씨의 아버지 김사우는 계속 관직을 지내며 군사도 관장하였다. 여러 대신들이 김사우를 탄핵하였으나, 세조는 김사우가 공신이라는 이유로 탄핵을 윤허하지 않았다[10]. 이후에도 김사우는 단종 복위를 꾀하다가 처형된 송현수, 권완과는 달리[11] 여러 관직을 두루 역임하다가 1464년(세조 10년)에 사망했다[5].

한편 김씨는 단종 사사 후에도 줄곧 서울에서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12]. 1519년(중종 14년) 음력 1월 26일 당시 80세를 넘겨 생존하여 나라에서 공물을 지급하기 시작하였으며[4], 이후 충주로 옮겨 거처하다 1525년(중종 20년) 음력 2월 그곳에서 사망하였다. 당시 예조에서 김씨 생존 시 해마다 관에서 물건을 지급한 것을 예로 들면서 중종에게 부의(賻儀)에 대해 문의하였는데, 중종은 지난 날 물건을 지급한 것은 젊은 신하들의 건의로 한 것이며, 노산군이 폐위된 데다가 김씨는 부인도 아닌 후궁이라 하여 일체 부의를 하지 않았다[13]. 한편 김씨는 소생은 없었으며, 외가인 광주 이씨 일가의 이약빙을 양자로 삼았다[14].

2. 3. 사후

단종이 폐위되고 1457년 사사된 이후에도, 숙의 김씨와 그녀의 아버지 김사우의 상황은 정순왕후와 그 아버지 송현수보다는 상대적으로 나았다.

아버지 김사우는 세조가 왕위를 차지한 후에도 계속 관직을 유지하며 군무를 맡았다. 여러 대신이 김사우를 탄핵하려 했으나, 세조는 김사우가 공신이라는 이유를 들어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김사우는 단종 복위 운동에 연루되어 처형된 송현수나 권완과는 달리 여러 관직을 지내다가 1464년(세조 10년)에 사망했다.

숙의 김씨는 단종 사후에도 계속 서울에서 거주한 것으로 보인다. 1519년(중종 14년) 음력 1월 26일 기록에 따르면, 그녀는 80세가 넘은 나이까지 생존했으며 국가에 공물을 바치기 시작했다. 당시 예조에서는 그녀가 매년 세금을 납부한 전례를 들어 재산을 문의했지만, 남편을 잃은 후궁이었기에 별다른 재산은 없었다.

숙의 김씨는 복위되지 못했고, 단종과의 사이에서 자녀를 두지 못했기 때문에 외가인 광주 이씨의 친척 이약빙을 양자로 삼는 것이 허락되었다. 그녀는 1525년 85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충청북도 충주에 묘소가 마련되었다.

3. 가족 관계


  • 아버지 : 김사우(金師禹, 1415~1464)
  • 어머니 : 광주 이씨 이인손(李仁孫)의 딸 (1420~?)
  • 남동생 : 김양(金瑒, 1445~?)
  • 시아버지 : 제5대 문종(文宗, 1414~1452, 재위:1450~1452)
  • 시어머니 : 현덕왕후(顯德王后, 1418~1441)
  • 남편 : 제6대 단종(端宗, 1441~1457, 재위:1452~1455)
  • * 양자 : 이약빙(李若氷, 1489~1547)
  • ** 양며느리 : 부계 홍씨(缶溪 洪氏, 1493~?) - 홍언승(洪彦昇)의 딸

양손자 : 이홍남(李洪男, 1515~1572)
양손자 : 이홍윤(李洪胤, 1519~1549)
양손자 : 이후정(李後丁, 1529~1549)

참조

[1]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3]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4] 실록 중종실록 35권, 중종 14년 1월 26일 신유 1번째기사
[5] 백과사전 김사우 https://terms.naver.[...] 한국민족문화대백과
[6] 실록 단종실록 10권, 단종 2년 1월 8일 경신 1번째기사
[7] 실록 단종실록 10권, 단종 2년 1월 10일 임술 4번째기사
[8] 실록 단종실록 10권, 단종 2년 1월 24일 병자 2번째기사
[9] 실록 단종실록 10권, 단종 2년 3월 29일 경진 1번째기사
[10] 실록 세조실록 6권, 세조 3년 2월 10일 갑진 2번째기사
[11] 실록 세조실록 8권, 세조 3년 7월 15일 병자 3번째기사
[12] 웹사이트 불광출판사 홈페이지 - 청룡사-왕실 여인의 출가 도량- http://www.bulkwang.[...]
[13] 실록 중종실록 53권, 중종 20년 2월 11일 경자 6번째기사
[14] 실록 중종실록 91권, 중종 34년 윤7월 7일 임인 1번째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